-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23년 6월 출시되는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부지원 대표상품으로,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조건, 연령, 만기 금리, 가입대상, 유의사항, 신청방법 순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다.
■ 청년도약계좌 란?
청소년 도약 계좌는 일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19~34세 청년이 5년간 월 70만 원 미만을 저축하면 5000만 원 정도를 모을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300만 명 이상의 젊은이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이를 위해 3,678억 원의 예산이 책정되었다.
계좌의 금리 수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일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들은 정부 출연금과 비과세 혜택을 적용해 상업적 적금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청년도약계좌 만기 및 금리
오는 6월 출시 예정으로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결제할 수 있는 상품이다. 가입 후 5년 만기로 최초 3년은 고정금리, 나머지 2년은 기준금리가 반영된 변동금리가 적용된다. 최종 만기수령액은 가입자가 납부한 금액에 정부 출연금과 이자를 합산해 결정되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된다. 금리 수준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정부 출연금을 고려하면 시중 적금보다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가입대상 소득이 적을 수록 유리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매년 중위소득 180% 이하 또는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인 19~34세 청년이다. 군 복무기간은 청년연령 산정에 반영되지 않으며,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해 최근 3년간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면 가입이 제한된다. 가입자는 300만 명으로 추산되며 400만~500만 명이 예산에 동참할 것으로 추산되지만 이 중 300만 명 정도가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이 적을수록 좋다. 청년도약계좌 혜택은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의 청년에게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청년은 정부 출연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고, 6000만~7500만 원 이하 청년은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다. 정부는 5년의 장기적인 연간 소득심사를 통해 출연금 지급 여부와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기여금 지급 한도와 매칭 비율이 높아 저소득층 청년에게도 우대금리가 주어진다.
■ 가입자 유의사항
다른 청년정책 금융상품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지원 상품은 저소득층 청년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가입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달 출시 예정인 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도 청년비약통장에 동시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문재인정부 때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은 사업목적이 비슷해 중복 등록이 불가능하고, 만기나 해지 후에야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다. 정부는 또 관계기관과 '예적금담보부대출'과 같은 지원책도 논의할 예정으로, 이자지원책을 포기하고 중도해지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급전이 필요한 청년을 대상으로 특별해지 요건을 충족할 경우 정부 출연금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예정이다. 일반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 납입금만 반환되고 정부 출연금과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다. 정부는 청년들이 상품 만기 후에도 자산 형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상품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예금·적금 납입액을 개인신용등급으로 추가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정부는 지정된 요건들을 충족하는 금융회사들을 대상으로 취급기관을 모집할 예
정이며, 취급기관이 선정된 이후에는 해당 취급기관의 금리 수준을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오는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2주간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서 심사 결과를 통보할 계획이라고 한다.
■끝으로
청년정책대표상품으로 등장한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등을 확인해 보았다. 청년도약계좌는 목돈 만들기에 상당히 유리한 상품임에 틀림없다. 정부 기여금이 높으니 조건만 맞다면 무조건 신청을 하기 바란다.
반응형